반응형
기회비용
영어 단어 'Opportunity Cost'를 일본 학자들이 한자어로 번역하면서 만들어진 말이다.
이름 그대로 기회에 대한 비용.
'선택을 함으로써 대신 포기한 효용 혹은 가치'를 의미한다.
이렇게만 말하면 이해하기 힘들 수도 있다.
예시를 하나 들어보겠다.
내가 회사애서 야근을 한 시간 하면 야근 수당 3만 원을 받는다 가정해 보자.
반대로 정시에 퇴근하면 그만큼 휴식을 취하게 된다.
내가 야근 수당을 포기하고 휴식을 택한다면
그 휴식의 기회비용은 얼마인지 알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이 휴식을 돈으로 환산하면 얼마의 가치가 있다.'
이런 계산은 경제의 세계에서 편의상 계산할 수밖에 없다.
우리는 돈을 조금 아껴서라도 힘듦을 감수하려 한다.
하지만 그 돈을 아끼지 않고 써서 편함을 얻을 수도 있다.
나도 무작정 더 싼 것만 추구하고 편하게 갈 수 있는데 돈이 조금 든다는 이유로 굳이 힘든 길을 걸어가고,
빠른 기차를 탈 수도 있는데 돈을 조금 아끼겠다고 시간이 더 걸리는 버스를 타는 등 엄청 많다.
이제 우리는 기회비용을 따져 어떤 선택을 할 때 대신 포기하는 가치를 계산하여
판단을 내려야 한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이라 쓰고 빚이라 읽는다(채권에 대하여) (0) | 2023.09.02 |
---|---|
한계비용과 한계편익 그리고 한계효용 (0) | 2023.08.31 |
우리가 하루빨리 주식을 해야하는 이유 (1) | 2023.08.27 |
우리가 돈을 버는 진짜 이유 (1) | 2023.08.26 |
내가 원하는 나의 5년 후 모습은? 이를 위해 지금 내가 해야 하는 건? (1) | 2023.08.26 |